Announcement, News

Kaia 진행 상황 및 기능 업데이트

Klaytn과 Finschia 통합 재단은 통합 메인넷 Kaia 체인과 생태계 통합을 발표하며, Kaia 체인을 기반으로 강력한 유저 중심의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전에 시도된 적 없는 규모의 합병인 만큼, 아직 많은 일들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새로운 영역으로의 도약을 준비하며, 진행 상황을 공유합니다. 

지난 몇 주 동안 Kaia의 탈중앙 금융 인프라와 생태계 핵심이 될 주요 파트너들이 Kaia 생태계에 합류했습니다. Capybara DEX, DragonSwap, Flipside, KaiaSwap, Pyth, LayerZero, Stargate, Wormhole, 그리고 더 많은 파트너들이 Kaia 생태계에 합류할 예정입니다. 

Discord를 시작으로, 커뮤니티와 소셜 플랫폼의 통합 작업도 시작되었습니다. Kaia 블로그와 소셜 미디어 계정도 준비 중이며, 메인넷이 출시되는 날에 맞추어 오픈할 예정입니다. 

핵심 개발과 관련해서는 Kairos 테스트넷 작업을 완료하고, 이제 막 가동에 돌입했습니다. Kaia 메인넷의 개발 작업은 순조롭게 진행 중이며, 여러 보안 감사를 거치고 있기도 합니다. 한편, 통합 재단은 메인넷을 출시하기 전 아시아 전역에서의 장애물을 최소화하면서, 널리 채택될 수 있는 블록체인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규제 준수가 필수적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이를 위해서 ADGM(Abu Dhabi Global Market)의 DLT(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재단 규정에 따라 통합 재단을 설립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DLT 재단의 등록 프로세스가 부득이하게 당초 예상보다 지연되어, Kaia 메인넷 런칭 일정이 3분기로 소폭 연기될 것임을 알려드립니다. 

ADGM은 현재 블록체인 산업과 관련한 규제와 대중화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면밀히 구축하고 있습니다. ADGM의 프레임워크에 따르면 DLT 재단은 비지니스 친화적인 생태계에서 선도적인 관할권 하에, 블록체인 업계 참여자들과의 지속적인 협업을 추진할 수 있습니다. 이런 관점에서 통합 재단은 ADGM과 생산적인 논의를 이어오고 있으며, DLT 재단의 설립을 위해 여러 가지 산업적인 규제나 기술의 검토는 물론, 생태계 차원의 여러 요소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통합 재단은 Kaia DLT 재단이 블록체인 업계가 규제 당국과 협력하여 더 많은 사람들이게 Web3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선도적이고 모범적인 사례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Kaia 생태계 참여자들에게 이익을 극대화하는 메인넷을 구축하기 위해, 통합 재단은 Kaia 메인넷과 함께 출시될 Kaia Portal과 Kaia Square의 Public Delegation 기능이라는 두 가지 이니셔티브도 함께 준비 중입니다.


Kaia DeFi 생태계의 Gateway – Kaia Portal

Kaia Portal은 Kaia 재단에서 제공하는 공식 웹 서비스로, Kaia 생태계 참여자들이 빠르게 온체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 ‘Kaia DeFi 생태계의 Gateway’입니다. Kaia Portal은 크게 3가지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 FNSA에서 KAIA로의 토큰 스왑 
  • Defi와 연계된 Mission 수행
  • Kaia 내 토큰 스왑 및 브릿징

Kaia Portal 출시 초기에는 FNSA>KAIA 토큰 스왑과 에어드랍 기능을 제공하는데 좀 더 집중하여, 기존 Klaytn 및 Finschia 유저와 Kaia 생태계에 쉽게 온보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며, 유저들이 Kaia Portal 안에서 손쉽게 Kaia DeFi를 사용할 수 있도록 기능을 지속적으로 확장할 예정입니다. 한편, 토큰 스왑 가이드는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Note: 아래의 첨부 이미지는 이해를 돕기 위한 Kaia Portal의 예시 화면으로, 정식 런칭 이후 일부 UI 및 UX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FNSA 보유자는 Kaia Portal을 통해 보유 자산을 KAIA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Kaia Portal은 사용자가 포인트와 보상을 위해 참여할 수 있는 미션도 도입할 예정입니다.

현재 통합 재단이 개발 및 테스트를 수행 중인 Kaia Portal은 Kaia 메인넷 온체인 유저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타 체인 브릿지, 토큰 스왑, DeFi 어플리케이션 유동성 제공 및 파밍, Kaia buy 기능이 제공될 예정입니다. 사용자는 안전한 프로토콜에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으며, 여러 보상 기회를 제공받게 됩니다. 추후에는 초기 기능을 기반으로 더 많은 온체인 활동을 통합해 유저가 편리하게 온체인 활동에 참여하고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방향으로 Kaia Portal을 확장해 나갈 예정입니다. 

유저 뿐만 아니라, 생태계 빌더들에게도 Kaia Portal은 다양한 베네핏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특히, Kaia 체인에 온보딩이 용이해지고, Kaia 생태계 코어 유저의 장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Kaia Portal은 생태계 관점에서 여러 파트너들과 함께 하기 위한 활발한 논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파트너 리스트는 추후 별도로 공개될 예정인 만큼,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지금 단계에서는 정식 런칭에 앞서 공신력 있는 Audit 업체와 협력하여 신뢰성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카이아 거버넌스의 민주화 – Public Delegation 기능

Public Delegation은 자신이 신뢰하는 밸리데이터에게 KAIA 토큰을 위임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위임을 통해 특정 밸리데이터에게 온체인 거버넌스의 투표권을 위임하고, 블록 보상을 나누어 받을 수 있습니다. KAIA 토큰을 보유한 누구나 Kaia Square에서 해당 기능을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한편, Public Delegation 기능은 기존 Klaytn 생태계에서 존재하던 Public Staking 서비스나, Finschia 생태계에서 제공하던 Delegation 기능과 유사합니다. 하지만, 기존 Public Staking의 경우 거버넌스 카운슬 멤버가 각각 Public Staking 기능들을 개발해야 했기에 유저 위임 기능을 제공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였고, 서비스마다 사용법이나 구현 방식이 상이했습니다. 

Kaia에서 제공하는 Public Delegation 기능은 재단이 개발한 오픈 소스 컨트랙트를 거버넌스 카운슬 멤버들이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고 일관된 위임 기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런 구조는 결과적으로 유저에게 더 많은 위임 대상 선택권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거버넌스 카운슬 멤버들이 유저들의 위임을 경쟁적으로 유치하는 과정에 유저에게 더 많은 혜택이 제공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각 밸리데이터는 Crypto 회계의 어려움 등 위임 기능 운영에 어려움을 가질 수 있기에, Public Delegation 제공 여부는 Validator 가 스스로 결정할 수 있으며 재단에서 개발된 Public Delegation이 아닌 자체 개발한 기능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한편, Kaia Square에서 기존의 Public Staking 서비스들의 위임 기능도 동일하게 제공될 예정입니다. 

이처럼 Public Delegation 기능이 하나의 일관된 방식으로 개발되어 여러 Validator 들이 사용되는 경우, 타 서비스나 블록체인 코어와의 연계성이 높아져 더 많은 확정성이 기대됩니다. Kaia 통합 거버넌스가 런칭된 이후에 통합 LST, Re-delegation 지원 등 Public Delegation과 연관된 기능들에 대한 정책이 본격적으로 논의될 것입니다. 재단은 거버넌스 카운슬 멤버(Validators)와 함께 안전하면서도 다양한 Delegation 확장 기능들이 제공되도록 지원할 예정입니다. 


Kaia 통합 재단은 이처럼 유저 베네핏 중심의 생태계를 구축하면서,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Layer1의 기술 인프라를 비롯해, 산업 관점에서 블록체인 재단 차원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DLT 재단 설립 지연으로 Kaia 메인넷 런칭이 조금 늦어지는 만큼, 연관된 서비스들이나 정책 측면에서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 더욱 안전하고 견고한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추후 메인넷 런칭과 관련한 자세한 일정은 별도의 공지를 통해 커뮤니티에 안내하겠습니다.